티스토리 뷰

반응형

 1. 판소리: 여러 사람들이 모인 공간에서의 소리 

 

명창 모흥갑이 여러 사람들이 모인 공간에서 북반주에 맞추어 소리하는 모습, 우표로 발행됨

2. 판소리 공연

1) 또랑 광대: 유명한 한 대목만 부르는 소리꾼  

 

  <수궁가> 중 범내려온다

 

♠ 박동진 명창

https://youtu.be/81ccKyNy7SM

 

♠ 김수연명창

https://youtu.be/e3LI8Qu_7jA

 

 

♠ 이날치밴드

https://youtu.be/SmTRaSg2fTQ

 

 

♠ <스타대전> 박태오

https://youtu.be/Xcg616tR3Ck

 

 

 

2) 완창: 판소리 한마당을 처음부터 끝까지 부름

♠  <춘향가> - 김소희

https://youtu.be/nQY2B2VpKxM?list=PL47oL7KfZrJIVUMsVtspEsJfO_Lpl3dWK 

 

 

3) 창극: 판소리가 창자와 고수 두사람이 펼치는 음악인데 비하여

    창극은 작품 속의 등장인물을 여러 창자들이 나누어 부르는 음악극

 전후기 8명창시대: 권삼득, 김성옥, 송흥록, 모흥갑, 송광록, 고수관, 염계달,

     신만엽, 김제철, 방만춘, 주덕기/

     박유전, 정춘풍, 박만순, 이날치, 김세종, 송우룡, 정창업, 김창록, 장자백, 김찬업

 

3. 광대와 악사

1)  유가행렬: 과거 급제자는 어사화를 꽂은 복두를 쓰고 말에 올라

사흘 동안 광대(배우)를 데리고 풍악을 울리면서 마을 행렬을 할 수 있는 특권이 주어짐

 

 

2) 삼현육각: 행진할 때, 춤반주, 굿반주 등에 연주되던 관악기와 타악기의 악기편성이었으나

     <영산회상>의 악곡으로 변화됨 

 

 

4.  판소리의 가창법 : 더늠< 바디< 제

1) 특징적 대목, 사설의 짜임새, 유파 등을 구별하는 용어

2) 더늠은 '더 넣다'에서 온 듯

   전대에서 이어져오는 특징적인 대목이나 음악적 스타일

   대표곡: 권삼득의 <흥보가>제비후리러 나가는 대목,

       모흥갑의 <춘향가>중 이별가, 임방울의 <춘향가>쑥대머리

임방울은  서편제명창 ,  고향에서 이재현에게 공부 ,   유성준 문하에서 다시 닦음

 

3) 바디는  '선생님에게서 받았다'는 뜻의 '받이, '베를 짜듯 소리를 짰다' '바디'복합적 의미

   더늠이 특정 대목을 칭하는 것에 대해 바디는 판소리 한마당 전체의 짜임새

 

4) 제는 법제 혹은 제작을 의미, 유파를 뜻하기도 함

  판소리 유파는 동편제, 서편제

  판의 짜임은 송만갑제, 정정렬제로 

  더늠을 의미하는 권삼득제, 고수관제,

  조는 설렁제, 산유화제다양 함

 

5) 동편제 송흥록의 법제를 표준으로 한 운봉, 구례, 순창 등의 지역을 말함

   특징은 풍부한 성량의 쭉쭉 뻗는 소리, 우조적인 선율, 장단의 속도 빠름,

   싯가를 요하지 않는 단순한 시김새, 흉성을 위주의 하탁성 사용

 

6) 서편제 박유전의 법제를 표준으로 한 광주, 나주, 보성 등의 지역을 말함

  특징은 연기적인 요소가 많은 소리, 계면조적인 선율, 장단의 속도 느림,

  복잡한 형태의 시김새, 두성이 많이 가미된 세성 사용

'전통음악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강. 유성기음반  (0) 2023.02.09
10강. 시나위와 산조  (0) 2023.02.06
8강. 민속음악의 변천  (0) 2023.01.19
가악과 영산회상의 이해  (2) 2023.01.17
6강. 민간음악교육기관과 기생  (1) 2023.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