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신라의 국가음악기관 음성서

1) 진흥왕5(555) 예부(禮部) 음성서(音聲署): ()2+대사(大舍)2+()4

2) 신문왕7(687) 음성서: ()2+()4

3) 경덕왕(742-765) 대악감: 사악(司樂), 주부대사, ()4

    (경과 주부가 사악과 대사로 개정)

4) 혜공왕(765-780) 음성서: 처음 - 2, 개정-2, 대사2, 4

5) 음성서의 명칭: 경덕왕때 대악감혜공왕때 다시 음성서로 복원

6) 음성서의 관원: ()2대사(大舍) 2()4명으로 구성

    687년 경으로 개칭경덕왕때 사악혜공왕 때 다시 경/ 대사

      → 경덕왕 때 주부主簿로 개칭 대사로 복원. 장이나 경은 음성서의 우두머리

7) 음성서의 경대사사라는 관직은 신라의 골품사회에서 6두품~ 4두품 사이에 속한

   귀족출신의 사람들이 차지할 수 있었음

8) 음성서 관리들의 사회적 지위는 일반 백성보다 높았음

 

2. 고려의 음악교육기관

음성서의 전통을 전승하여 궁중의식에 따른 음악활동이 지속되었을 가능성

국가의 기틀이 안정되어 감에 따라 그 체제와 이념에 맞는 음악이 발생,

이에 따른 새로운 음악 기관 설립

수시로 거행되는 궁중의 여러 의식과 행사에 음악이 수반

국가 기관으로서의 음악 관청이 필요 - 음악인들이 궁중에 상주, 음악인들의 교육과 훈련,

연주와 행정을 관장

신라 : 음성서, 대악감

고려는 신라의 유풍을 이어받음

 

1) 대악서

(1) 고려의 왕립음악기관 중 제일 먼저 설립

(2) 음악행정을 담당

(3) 왕이 전용으로 쓸 수 있는 많은 수의 여기와 악공을 거느린 국립음악기관

(4) 개칭: 전악서(1308,충렬왕) 대악서(1356,공민왕5) 전악서(공민왕11)

       → 대악서(공민왕18) 전악서(공민왕21)

2) 관현방

(1) 문종(1076)때 설치

(2) 실제 음악과 무용만을 가르칠 악사 및 연주담당자인

   악공여기의 활동을 관장했던 국립음악기관

(3) 1352년 관현방이 폐지되고 아악서 설립

 

3) 교방

(1) 고려의 속악(향악, 당악)을 주로 담당하는 왕실기구로서 여악의 교습을 위해 설립

 

4) 전악서

(1) 음악의 교열과 성율에 관한 업무를 관장

(2) 목종(997~1009) 때 설립된 대악서를 충선왕(1308~1313) 때 개칭한 기관명

3. 고려도경

https://youtu.be/Yvv23lTVXlo

 

(1) 시대: 고려, 저작자: 서긍(徐兢), 창작/발표시기: 1123(인종 1), 성격: 견문록,

    권수/책수: 40권, 간행/발행: 중국 송

(2) 요약: 1123년 송나라 사절의 한 사람으로 고려에 왔던 서긍이 저술한 견문록.

(3) 고려의 대악사에는 230, 관현방 170, 경시사 300여명의 음악인이 소속되어있으며,

   정재를 추는 이들이 수백인

 

  1245년(고종32) 동국통감 권32 고려기: 기악(伎樂)을 벌여 온갖 놀이를 하고,
팔방상(八坊廂)의 공인(工人) 1350여 인이 모두 성장(盛裝)을 하고서
뜰에 들어와 음악을 연주하는데, 거문고를 타며 노래하는 소리와 북을 치고
피리를 부는 소리가 천지를 진동하였다.

 

4. 직업 예인들

1) 악공:국가의 음악기관에서 기악 연주를 맡았던 남성연주자들, 영인, 악관으로도 불림

2) 여기: 여류음악인의 총칭, 무기, 여공으로도 불림,

  대악사 관현방에 속하는 이와 민간에서 활동하다 국가행사 때 초청되는 이로 구별,

  향악정재와 당악정재를 공연하거나 노래를 부르며

  가야금이나 비파를 주로 연주, 송나라에서 새로 소개되는 정재와 사악을 정착시키는데 공헌

3) 창우: 직업 예능인으로 광대, 재인, 우인, 산대악인, 대개 가면을 쓰고 놀이나 재담,

  연등회 팔관회에서 각종 곡예를 담당한 배우

 

5. 고분벽화에서 보이는 악기들

1) 장구, 생황, 피리, 박, 비파(일본 인송사소장)

2) 장구, 당비파, 생황(일본 지은원 소장)

3) 거창 둔마리고분벽화 - 손에 바라를 들고 춤추는 선녀,

  소금이나 당적처럼 짧은 관악기, 장구를 메고 춤추는 선녀

거창 둔마리고분벽화

 

 

6. 음악기관의 변천

1) 고려

   목종: 대악서 문종: 대악서·관현방  인종: 대악사·관현방·경시사

   → 고종: 팔방상 충렬왕: 전악서 공민왕: 대악서~전악서

   → 공양왕: 전악서· 아악서· 관현방

2) 조선

  악학봉상시아악서전악서관습도감

세조 3(1457). 장악서(봉상시+아악서+전악서) 악학도감(악학+관습도감)

세조12(1466) 장악서

장악원(성종1469~1494)

교방사(1897)

장악과 및 아악대(1907)

이왕직아악부(1910~1945)

구왕궁아악부(1945~1950)

국립국악원(1951~ )

 

3) 국립국악원의 국악사연표

 918 고려 국중대회인 팔관회를 거행

1010 중단하였던 연등회를 다시 시작

1053 궁정 음악인 중에 자제 3-4인이 있을 경우 그 중 하나가 음악인의 업을 잇게 함

1073 연등회, 팔관회에서 당악정재 <답사행가무>, <구장기별기>, <포구락> 등을 연행함

1078 송나라 사신이 고려에 오면서 박판··피리 등을 예물로 가져옴

1114 송나라에서 새로 제정한 연향악(大晟新樂)의 악기, 악보 등을 보내와 고려에서 연주

1116 송나라에서 아악기, 아악보, 의물 등을 보내와 최초로 아악을 연주하기 시작

1151 겨울 나례(儺禮)에서 정서가 <정과정> 작곡

1370 명나라에서 아악기를 보내옴

1378 박연 탄생(1378-1458)

1389 십학(十學)에 악학(樂學)을 둠

1391 아악서를 두고 종묘악가를 익히게 함, 악기도감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