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개관

1) 조선시대는 전기와 후기로 구분

2) 전기: 조선건국 ~ 임진왜란(1592)

 (1) 신악(新樂) 창제

 (2) 아악의 제도 확립

 (3) 남녀상열지사 등의 음악정비

 (4) 새로운 기보법의 창안으로 악보 간행

 (5) 음악연구의 결과를 정리한 악서 간행

3) 후기: 광해군~ 갑오개혁(1894년)

 (1) 궁중음악 쇠퇴

 (2) 민간의 풍류음악 발전

 (3) 전문예술인에 의한 공연예술 발달

 (4) 서양음악에 대한 정보 소개

 (5) 상공업발달로 인한 도시화 촉진

 (6) 전문음악인에 의한 음악 곡목 증가

 

2. 신악창제

1) 특징 - 건국의 대업을 송축하는 내용.

2) 태조- 정도전에 의한 납씨곡, 정동방곡, 몽금척, 수보록

3) 태종- 하륜이 근천정, 수명명

4) 가사만 새로 지었고, 선율은 청산별곡이나 서경별곡과 같이 고려시대의 속악 선율을 빌어 사용

5) 신악의 본격적인 창제는 세종 때에 이루어짐

6) <봉래의>, <발상>, <보태평> <정대업>: 가사는 태조·태종 및 역대 조종(祖宗)의 공덕과

  건국의 위업을 칭송, 기존의 고려 속요나 고취악을 토대로 작곡

7) 보태평 정대업: 당시 회례악 → 세조 이후로 종묘제례악

8) 봉래의: ‘용비어천가’를 가사로 삼아 만든 음악이 현재까지 전승 - 여민락(與民樂) 계통의 여러 악곡

9) 여민락(與民樂):“백성과 더불어 즐기자”는 의미

 (1) 초기에는 성악곡이었으나 현재는 가사 없이 관현악곡으로 연주

 (2) 관현반주에 맞추어 용비어천가를 노래하던(치화평·취풍형은 국한문, 여민락은 순한문) 성악곡

 (3) 세종실록에 전하는 봉래의의 악보에는 전인자-진구호-여민락-치화평-취풍형-후인자-퇴구호 수록

 (4) 전체 125장의 <용비어천가> 중 1·2·3·4·125장을 노래하기 위해 만들어 짐

 

3. 아악정비

1) 악가제정, 율관 및 악기 제작, 아악제정

① 악가제정: 정도전(납씨곡`정동방곡 몽금척 수보록)과 하륜(근천정 수명명)에 의한 창제

② 악기 제작: 율관제작이 세종 9년(1427년)에 완성. 구리 율관 제작, 주종소와 악기도감 설치,

  편종∙ 편경 ∙ 금 ∙ 슬 ∙ 대쟁 ∙ 생 ∙ 봉소 등의 아악기를 국내에서 제작

③ 아악제정: 조회·회례 ·제향아악제정

세종 59권, 15년(1433 계축 1월 1일(을묘)
임금이 근정전에서 회례연을 베풀었는데, 처음으로 아악을 사용하다

  임금이 근정전에 나아가서 회례연(會禮宴)을 의식에 따라 베풀었는데, 처음으로 아악(雅樂)을 사용하였다…    (중략)…을사년 가을에 거서(柜 黍)가 해주에서 나고, 병오년 봄에 경석(磬石)이 남양(南陽)에서 생산되자,

  임금이 개연(慨然)히 예전 것을 개혁하여 새로 고칠 뜻을 두어 박연에게 편경(編磬)을 만들기를 명하였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본래 음(音)에 맞는 악기가 없으므로, 연이 해주의 거서(秬 黍)를 가지고 그 분촌(分寸)을

  쌓아 고설(古說)에 의거하여 황종(黃鍾) 1관(管)을 만들어 불어 보니, 그 소리가 중국의 종(鍾)·경(磬)과

  황종 및 당악(唐樂)의 필률(觱篥) 합자성(合字聲) 보다 약간 높기 때문으로 인하여 ..

 

2) 조회아악 : 세종 12년 이후 매월 초하루의 조회의식 때 헌가에서 연주, 매월 악곡의 기본 율을 달리함

3) 회례아악: 사신회례연 등에서 당악·향악이 함께 사용, 춤은 남자인 무동이 추도록 결정,

   그 악곡은 중국의 문헌인 《의례경전통해》에서 차용

4) 제례아악: 《석전악보》의 곡을 차용, 등가에서는 음려의 악곡을, 헌가에서는 양률의 악곡을 사용,

  등가에도 편종과 편경을 사용케 하는 등 제도 정비

 

세종의 업적

1397년  한양에서 태종의 셋째 아들로 태어남.

1418년  22세 세자가 됨. 두 달 뒤 왕위에 오름.

1419년  23세 이종무에게 대마도의 왜구를 물리치게 함.

1420년  24세 집현전 설치(유능한 학자들을 육성, 왕과 세자에 대한 학문적인 자문,교육,

   각종 학술 연구, 서적 편찬 담당 )

1423년  27세 금속 화폐인 '조선통보'를 만듬.

1425년 29세 관습도감설치, 박연에게 아악을 정리하게 하여 음악장려

1427년 31세 율관제작

1429년  33세 [농사직설]을 편찬.

1430년 34세 아악보 정비

1432년  36세 [신찬팔도지리지]와 [삼강행실도]를 편찬.

1433년  37세 압록강 상류에 4군 개척. 장영실이 혼천의를 만듦

1434년  38세 장영실이 갑인자와 자격루를 만듦.

1441년  45세 장영실이 측우기를 만듦.

1443년  47세 훈민정음을 만들고 언문청을 둠.

1445년  48세 [용비어천가]를 지음.

1446년  50세 훈민정음반포.

1447년  51세 [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을 만들게 함.

1449년  53세 여진을 정벌하고 6진을 완성하여 두만강 유역을 다시 찾게 함.

1450년  54세 세상을 떠남.

 

https://youtu.be/-YmqHw791n8

 

지음도 해설

지음도

▶ 지음도 해설:  박연이 남양의 경돌로 만든 편경 12매를 편전에 들여다가 음가를 시험할 때

  세종께서 소리를 듣고 말씀하기를, "이칙(夷則)의 경쇠 소리가 조금 높으니,

  몇 분(分)을 감하면 조화(調和)가 될 것이다.” 하고, 박연에게 잘못된 곳을 지적하는 광경이다.

 

4. 악보와 악서간행

1) 정간보(井間譜)- 유량악보, 종이에 바둑판 모양의 줄을 긋고, 각 한 칸을 한 박으로 삼아,

  그 속에 율명을 적어 음악을 기록, 동양 최초로 음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는 악보.

2) 세종실록 - 정간보를 이용하여 당시에 새롭게 창제된 <정대업>, <보태평> , <치화평>, <취풍형> 등을

  비롯한 많은 악곡이 악보로 간행되었고, 이 악보는 오늘날 《세종실록》에 수록

3) 악보

 (1) 『세종실록악보』: 세종실록 권136~146, 현존하는 최고의 악보,

  향악곡과 당악곡은 모두 32정간의 정간보로 기보, 1447년 6월 이전에 창제

세종실록악보

(2) 『세조실록악보』: 세조실록 권48~권49, 보태평, 정대업이 제례악으로 개작, 오음약보 16정간

 (3) 『시용향악보』: 중종조~명종조(1506~1567) 간행

  세조조에 창안된 오음약보+ 정간보, 16정간 6대강, (1행: 오음약보, 2행: 장고보, 3행: 박보, 4행: 가사 ).

  수록된 26곡 가운데 20곡은 다른 고악보에는 전하지 않던 귀중한 곡-유림가·쌍화곡·

   나례가·유구곡·귀호곡 등

 

 (4) 『금합자보』: 목판본, 1572년 안상이 편찬, 합자보, 만대엽, 정석가, 한림별곡, 여민락, 보허자…

 

 

4) 악서

 

 (1) 『악학궤범』- 조선 초기 각종 음악의 정비사업을 통하여 축적된 연구결과를 정리한 악서,

  성종 24년(1493년)에 9권 3책으로 간행

 (2) 궤범: 음악 시행의 기준이자 실용적 지침서

 (3) 61종의 악기, 20여 곡의 음악, 30여 종의 춤, 70여 종의 의상과 소품이 가지런히 망라

 (4) 유자광, 성현, 신말평, 박곤 등이 참여하여 악율 이론, 악기 편성법, 궁중정재의 절차,

   악기의 구조와 조율법, 각종 의물의 모양과 제작법 등을 정리

 (5) 임진왜란 이후인 광해군 2년(1610년), 효종 6년(1655년), 아악의 부흥에 관심을 기울이던

   영조 19년(1743년)에 재간행 되어 오늘에 이름

 (6) 내용

  1책-

  권1: 악리(樂理)와 용법으로 육십조 등을 설명,

  권2: 아악진설도설·속악진설도설,

  권3: 고려사 악지 당악정재와 고려사 악지 속악정재해설

 2책-

  권4: 시용당악정재도설,

  권5: 시용향악정재도설,

  권6: 아부악기도설

 3책-

  권7: 당부악기도설,

  권8: 당악정재의물도설· 연화대복식도설· 정대업정재의물도설 ·향악정재악기도설 및

    둑제소용의 궁시 ·검 ·창에 대한 설명,

  권9: 관복도설 ·무동관복도설과 둑복 및 여기복식도설을 수록.

 

5. 당악 및 향악

고려 때 전해진 송나라

사악이 그대로 전승

 

1) 당악정재

 (1) 고려 문종(1073) 때

  송나라로부터 도입된 춤

 (2) 춤의 시작과 끝을

  죽간자(竹竿子)가 인도

 (3) 한문으로 된 창사(唱詞)를 부름

 (4) 구호와 치어가 있음

2) 조선초기 당악정재

 (1) 소재는 한국적이면서도 당악정재의 형식을 도입

 (2) 창작된 당악정재→ 금척, 수보록, 근천정,

   수명명, 하황은, 하성명, 성택

 (3) 재연한 당악정재(세종 때 인멸의 위기에 있던

  것을 재구성)→ 육화대, 곡파

3) 조선말기 당악정재

 (1) 고려시대부터 전하는 당악정재 → 헌선도,

  수연장, 오양선, 포구락, 연화대

 (2) 조선시대 초기부터 전하는 당악정재 → 몽금척,   하황은, 육화대,

 (3) 순조 때 효명세자에 의해 창작된 정재 →

  장생보연지무, 연백복지무, 제수창, 최화무

4) 향악정재

 (1) 한국 고유의 춤으로 조선 세종 이후 체계화

 (2) 무원(舞員)들은 죽간자의 인도 없이 무대에 등장함 - 면복흥퇴(꿇어앉아 엎드려 절하고 일어나서 퇴장함)

 (3) 한글로 된 창사를 부름

 (4) 조선 말기 : 죽간자의 유무에 관계없이 무원의 동작이 같아짐, 한문 창사가 보편화 됨

   - 전대(前代)까지의 향악•당악정재의 구별이 없어짐

5) 조선초기 향악정재

 (1) 보태평, 정대업, 봉래의, 아박, 향발무, 무고,학무, 학연화대 처용무 합설, 교방가요, 문덕곡

6) 조선말기 향악정재

 (1) 고려시대부터 전함 → 무고, 아박무, 무애무

 (2) 조선시대 초기부터 전함 → 봉래의, 향발무, 학무, 처용무

 (3) 창작 (創作) 된 정재 → 가인전목단, 검기무, 경풍도, 고구려무, 공막무, 관동무, 광수무, 만수무,

   망선문, 무산향, 박접무, 보상무, 사선무, 선유락, 침향춘, 영지무, 첨수무, 첩승무, 초무,

   춘광호, 춘대옥촉, 춘앵전, 향령무, 헌천화

 (4) 지방에서 들어온 잡극 → 사자무, 항장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