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3기로 나눈 고려(935~1392) 시대
1) 초기(935~1170)
(1) 태조 (918~943) 왕건 : 신라 궁예의 부하로, 송도에 도읍을 정하고 왕위에 오름.
935년 신라와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삼국을 통일함
(2) 혜종 - 정종 - 광종 : 과거제 실시
(3) 경종 - 성종: 유교 확립
(4) 목종 - 현종 - 덕종 - 정종 : 천리장성완성
(5) 문종 : 정치기구완비
(6) 순종 - 선종: 고려문화의 융성기
(7) 헌종 - 숙종 : 고려의 황금시대
(8) 예종 : 학문을 크게 진흥, 대성아악
(9) 인종: 이자겸, 묘청의 난 등, 삼국사기(1145)를 편찬케 함
(10) 의종: 무신정변으로 폐위
2) 무신집권기(1170)
(1) 명종 (1170~1197) - 신종 - 희종 - 강종 - 고종 (1213~1259) : 몽고의 침입을 받아 강화로 천도한 뒤
28년 동안 항쟁 하였으나 결국 굴복. 몽고를 불교의 힘으로 격퇴하기 위하여
팔만대장경을 조판함 ~ 원종 (1259~1274) //
3) 원간섭기(1273)
(1) 25대. 충렬왕 (1274~1298/1298~1308): 원나라에 굴복하여,
원의 제국공주를 왕비로 맞아들이는 등 원나라의 지나친 간섭을 받았음
(2) 삼국유사(1281) - 충선왕 - 충숙왕 - 충혜왕 - 충목왕 - 충정왕 - 공민왕
(3) 우왕 (1374~1388): 이성계에 의해 폐위
(4) 33대. 창왕 (1388~1389) [고려사는 우왕(신우-신돈아들), 창왕(신창)을 왕으로 인정하지 않음]
(5) 34대. 공양왕 (1389~1392)
2. 고려시대의 음악사
의종(1146~1170)말년을 기점으로 전기와 후기로 구분
1) 전기(태조~의종)
향가와 화랑의 전통, 팔관회와 연등회 등 통일신라의 유풍이 강하게 전승,
중국으로부터 아악이 전래되어 향악 · 당악 · 아악의 전통이 정립됨
2) 후기
통일신라시대의 유풍이 점차 사라짐, 중국에서 들어온 아악의 전통도 문란해짐,
이러한 사회상을 반영하는 새로운 음악이 출현함
3. 직지심체요철(직지심경)
1)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목판인쇄물
2) 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2001)된 세계 최초 금속활자본. (구텐베르크1439년)
3) 1377년(공민왕 21) 경한(景閑:1299~1375)이 부처와 조사(祖師)의
게송(偈頌)·법어(法語) 등에서 선(禪)의 요체를 깨닫는 데 필요한 내용을 뽑아 엮은 책
4) 현재 원본은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보관 중
4. 증도가자(1239년 證道歌字ㆍ가칭)
1) 직지심체요철 보다 최소 138년 이상 앞서는 금속활자의 실물이 공개(2010.9.1)
2) 이 금속활자가 세계 최고(最古)로 공인되면 국사 교과서의 내용은 물론 세계 인쇄술의 역사까지 바뀌게 됨
5. 팔만대장경
1) 250년간의 제작기간(1011-1251)
2) 8만 1258개의 경판
3) 단 한 글자도 오, 탈자가 없는 정밀도
4)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대장경판
5) 국보 제 32호, 세계문화유산 지정
6. 고려청자
1) 고려문종 전 후에 송의 영향을 받고 만들어짐
2) 초기의 청자는 매우 소박한 데서 시작하여
상감청자, 은동상감기가 생겨남
3) 우리나라 기술로 만들어진 화려하고 우수한 토기
4) 고려인의 창의력이 엿보임
7.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1) 1962년 국보 제 48호로 지정
2) 고려초기형식인 다각 다층 석탑
3) 15.2m의 높이, 8각 모양의 2층 기단 위 9층 탑 신을 올린 뒤,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 청동 풍경,금속 머리장식을 통해 고려 금속공예의 정수를 보임
8. 신라의 음악기관: 음성서의 변천
1) 진흥왕5년(555년) 예부(禮部) 음성서(音聲署): 장(長)2명+대사(大舍)2명+사(史)4명
2) 신문왕7년(687년) 음성서: 경(卿)2명+사(史)4명
3) 경덕왕(742-765) 대악감: 경→ 사악(司樂), 주부→ 대사, 사(史)4명(경과 주부가 사악과 대사로 개정)
4) 혜공왕(765-780) 음성서: 처음-장2명, 개정-경2명, 대사2명, 사4명
5) 음성서의 명칭: 경덕왕때 대악감 → 혜공왕때 다시 음성서로 복원
6) 음성서의 관원: 장(長)2명․대사(大舍) 2명․사(史)4명으로 구성
7) 장이란 관직명: 687년(신문왕7년)경(卿)으로 개칭→ 경덕왕때 사악→ 혜공왕 때 또다시 경
8) 대사의 명칭: 경덕왕 때 주부(主簿)로 개칭 → 대사로 복원
9) 장이나 경은 음성서의 우두머리
10) 음성서의 경․대사․사라는 관직은 신라의 골품사회에서 6두품~ 4두품 사이에 속한
귀족출신의 사람들이 차지할 수 있었음
11) 따라서 음성서 관리들의 사회적 지위는 일반 백성보다 높았음
삼국사기 권제38, 13장 앞쪽, 잡지 7 직관 상
음성서는 예부에 속하였다. 경덕왕이 대악감으로 고쳤는데, 혜공왕이 다시 그 전대로 하였다. 장은 2인이니, 신문왕 7년에 경으로 고쳤고, 경덕왕이 또 사악으로 고쳤는데, 혜공왕이 다시 경이라 칭하였고, 관등은 다른 (관서의) 경과 같았다. 대사는 2인으로, 진덕왕 5년에 두었고, 경덕왕이 주부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사로 칭하였는데, 관등은 사지에서 내마까지로 하였다. 사는 4인이었다. ; 音聲署 屬禮部 景德王改爲大樂監 惠恭王復故 長二人 神文王七年改爲卿 景德王又改爲司樂 惠恭王復稱卿 位與他卿同 大舍二人 眞德王五年置 景德王改爲主簿 後復稱大舍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四人
9. 고려의 과거제도
1) 958년(광종) : 5월에 처음으로 과거를 둠
→ 1004(목종) 3월에 과거법 개정
→ 1045(정종) 4월에 오역·불충·불효·악공과 같은 자손은 과거 보는 것을 금지
→ 1048(문종) 10월에는 서민이라도 악공 잡류에 매이지 않은 자는 공원과(貢員)에 응시 가능
→ 1053(문종) 10월에는 악공으로서 3~4인의 아들이 있는 자는 그 중 1인이 그 업을 계승하도록 함
→ 1123(예종) 6월에는 악공 자손은 국가의 공훈이 있더라도
물품으로 포상하고 벼슬 주는 것은 금함
※ 악공의 자손은 배우고 싶어도 길이 없고, 벼슬을 지낼 수 없으니 천인으로 전락, 사회적 냉대를 받음
'전통음악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악사] 9강 고려의 음악교육기관 (0) | 2023.03.06 |
---|---|
[국악사] 8강 고려의 음악문화 (0) | 2023.03.03 |
[국악사] 6강. 발해의 음악문화 (0) | 2023.02.17 |
[국악사]5강. 통일신라시대의 음악문화 (0) | 2023.02.15 |
[국악사] 4강. 신라와 가야의 음악문화 (0) | 202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