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시나위(神房曲) 1) 의미: 옛 문헌에 나오는 말로 무가, 즉 무당의 음악을 뜻함 2) 특징: 엄격한 이론 체계에 의한 모방적 선율진행인 서양의 다성음악과는 달리 연주자의 즉흥성에 의한 우연적인 다성 진행 3) 전통음악의 합주형태가 대부분 제주(Unison)이면서 헤테로포니이지만, 시나위는 높이가 다른 소리의 앙상블이 있는 헤테로포니 4) 육자배기토리로 된 허튼가락 5) 굿의 반주음악으로 쓰이던 종교관련 음악 6) 무대화 되어 연주하는 즉흥적인 가락을 엮어가는 기악곡 7) 피리, 대금, 해금, 가야금, 거문고, 아쟁, 장고로 연주하며, 한 두 악기를 빼거나 구음과 함께 연주하는 경우도 있음 8) 남도계면조 음계만으로 선율이 짜여짐 9) 중모리나 자진모리, 살풀이와 덩덕궁이 장단의 보통빠르기와 조금빠..

1. 판소리: 여러 사람들이 모인 공간에서의 소리 2. 판소리 공연 1) 또랑 광대: 유명한 한 대목만 부르는 소리꾼 중 범내려온다 ♠ 박동진 명창 https://youtu.be/81ccKyNy7SM ♠ 김수연명창 https://youtu.be/e3LI8Qu_7jA ♠ 이날치밴드 https://youtu.be/SmTRaSg2fTQ ♠ 박태오 https://youtu.be/Xcg616tR3Ck 2) 완창: 판소리 한마당을 처음부터 끝까지 부름 ♠ - 김소희 https://youtu.be/nQY2B2VpKxM?list=PL47oL7KfZrJIVUMsVtspEsJfO_Lpl3dWK 3) 창극: 판소리가 창자와 고수 두사람이 펼치는 음악인데 비하여 창극은 작품 속의 등장인물을 여러 창자들이 나누어 부르는 음악극..

1. 민간 음악인 1) 17c이후 신분제도 - 양반, 중인, 양인, 천민 2) 양반 - 직접 음악가로 활동하는 일은 없음 3) 중인 - 가객: 김수장, 김천택, 박효관, 안민영, 하중곤, 하규일… 율객: 중인 가객과 함께 활동, 김윤석, 신수창, 임백문… 4) 양인(양민, 평민, 상민, 상인, 서인, 서민) ① 소리꾼(서울의 잡가패) 우대(서울 도성 안의 서북쪽 지역, 중상류층이 살던 소비중심지역, 한산층) ▶ 한산층(뚜렷한 직업없이 평생을 음악으로 소일)으로 우대를 중심으로 활동, 기교적 완성 뿐 아니라 미적 지향, 악리탐구, 정음실현으로 악보제작 아래대(서울의 동대문과 광화문, 왕십리 지역, 중하류 층 중심의 생산과 소비 공존) 사계축(청파동일대, 수공업과 농업의 서민) ② 세악수: 서울의 군영에 소..

1. 가곡 1) 음악 수용층 정계를 떠난 사림파선비들 + 경제적으로 부유한 중인층 이들은 예악사상, 풍류수단으로 거문고를 애용, 가객과 풍류객들의 풍류활동 2) 가곡의 성장과 발전 • 만대엽: 17c초 하향, 18c 단절 • 중대엽: 17c초 성행한 후 17c후 발전 • 삭대엽: 17c전 춤반주음악 ⇒ 17c후 변주곡등장 ⇒18c전 삭대엽4 새변주곡 출현⇒ 18c후 가곡의 비약적인 발전(농∙낙∙편) ⇒ 19c전 조림(두거), 소이(삼수대엽)∙소용(삼수대엽변주곡), 언락∙편락(낙의 변주곡)첨가 ⇒ 19c후 중거∙평거∙반엽(우롱과 이수대엽), 언롱과 언편(농과 편), 환계락(우락과 계락)의 등장 ∙∙ 3) 형식: 5장 +여음, 느린 쪽에서 빠른쪽으로 변화, 일자다음식 청구영언 서문… 김천택은 이미 잘 알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