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국악사] 7강. 고려시대 개관

1. 3기로 나눈 고려(935~1392) 시대 1) 초기(935~1170) (1) 태조 (918~943) 왕건 : 신라 궁예의 부하로, 송도에 도읍을 정하고 왕위에 오름. 935년 신라와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삼국을 통일함 (2) 혜종 - 정종 - 광종 : 과거제 실시 (3) 경종 - 성종: 유교 확립 (4) 목종 - 현종 - 덕종 - 정종 : 천리장성완성 (5) 문종 : 정치기구완비 (6) 순종 - 선종: 고려문화의 융성기 (7) 헌종 - 숙종 : 고려의 황금시대 (8) 예종 : 학문을 크게 진흥, 대성아악 (9) 인종: 이자겸, 묘청의 난 등, 삼국사기(1145)를 편찬케 함 (10) 의종: 무신정변으로 폐위 2) 무신집권기(1170) (1) 명종 (1170~1197) - 신종 - 희종 - 강종 - 고..

전통음악의 이해 2023. 2. 28. 10:49
[국악사] 6강. 발해의 음악문화

1. 발해 5경에 대한 대략적인 추정 (1) 상경용천부:제3대 문왕대~ 제5대 성왕대 중 130여 년 수도로 번영 지금의 헤이룽장 성[黑龍江省] 닝안 현[寧安縣] 동경성지역을 그 옛 터로 보는 것이 정설 (2) 중경현덕부(中京顯德府):제3대 문왕대 초의 수도였으며 상경과 함께 발해의 2대 도시로 각광을 받았다. 중경의 위치에 대해서는 종래 여러 설이 제기되어 정설이 없다. (3) 동경용원부:제3대 문왕의 치세 후기(781~793)부터 제5대 성왕대까지 발해의 수도. 〈신당서 新唐書〉 발해전에는 동경이 상경의 동남쪽 바다 가까운 곳에 있다고만 되어 있어 1930년대 말까지 정확한 위치비정이 이루어지지 못함. (4) 남경남해부:〈신당서〉 발해전에는 남경의 위치에 대한 언급이 없고, 근래에 함흥 일대에서 발해..

전통음악의 이해 2023. 2. 17. 15:53
[국악사]5강. 통일신라시대의 음악문화

1. 통일신라(676~935)의 성립 1) 통일신라의 멸망 원인 (1) 전기 : 무열왕 ~ 혜공왕 (2) 후기 : 선덕왕 ~ 경순왕 (3) 전기: 전제왕권 ↔ 후기 : 귀족대란 (4) 혜공왕 시해, 선덕왕 즉위, 후기 시작 (5) 후기 150여년 간 귀족들의 권력투쟁 (6) 중앙세력 약화, 지방세력들의 득세 (7) 지방세력 득세 → 지방호족으로 발전 (8) 농민반란 (9) 견훤, 궁예의 후백제와 후고구려 건국, 후삼국 시대 (10) 후백제 멸망 이후 경순왕 고려 태조 왕건에게 항복 (11) 통일신라 멸망 2) 통일신라의 골품제도 골품제도란 법흥왕 이후 성립되어 신분이동이 가능하고, 신라 사회 전체를 규제함 2. 향악기와 가무 1) 향악기의 수용과 발전 (1) 삼국을 통일(660년 백제멸망, 667년 고구..

전통음악의 이해 2023. 2. 15. 12:39
[국악사] 4강. 신라와 가야의 음악문화

1. 삼국의 음악문화 2. 신라의 왕 1) 삼국: B.C.1~668, 통일신라: 668~877, 후삼국: 877~936 2) 1대 시조 혁거세(BC57~AD4) 거서간 박혁거세 3) 2대 남해(4~24) 차차웅, 왜국과 낙랑과의 전투 4) 3대 유리(24~57) 이사금 5) 15대 기림(298~310) 국호를 신라로 칭함 6) 19대 눌지(417~458) 묵호자가 불교전래 7) 20대 자비(458~479) 왜국에 대승, 고구려에 대응 8) 22대 지증왕(501~514) 순장금지, 왕호사용 9) 23대 법흥왕(514~540) 가야와 혼인, 이차돈순교, 가야항복 10) 24대 진흥왕(540~576) 백제와 화친, 우륵과 가야금, 황룡사건축, 원화와 화랑 11) 27대 선덕여왕(632~647) 첨성대(국보31..

전통음악의 이해 2023. 2. 14. 15:13
이전 1 2 3 4 5 6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kateresa@hanmail.net | 운영자 : 카테레사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