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시대개관 1) 조선후기: 임진왜란(1592)이후~ 갑오개혁(1894) 2) 17C : 서인들 정권시대, 중인출신의 상인이 등장함으로써 상업이 발전 3) 18C : 탕평책(왕권을 강화, 편중되지 않은 인사정책, 각 정치세력간의 균형을 유지하려 실시한 정책) 에 의한 정치안정 4) 19C : 중인층의 경제적 활동이 활발해 짐에 따라 양반사회체제가 무너짐 2. 음악문화 1) 부유했던 중인층이 음악 수용층으로 등장 - 판소리명창 후원으로 민속음악문화발전에 기여 2) 풍류활동으로 정악 음악문화의 형성에 중추적인 구실 - 양반이 아닌 중인과 상민층의 정악∙ 민속악이라는 음악문화 형성 3) 조선전기의 아악∙ 향악∙ 당악∙ 고취악 등의 음악문화 전승 4) 궁중음악문화의 하향 추세 5) 가객이나 풍류객들에 의한 거..

1. 정악에서 풍류음악으로 1) 학자들이 말한 정악의 이해 (1) 이혜구,『한국음악개요』『한국음악연구』(국민음악연구회, 1957) 73쪽. • 현악영산회상 일명 거문고회상을 정악으로 기술. “보통 거문고․ 가야고․ 양금․ 해금․ 젓대․ 피리․ 장고의 관현합주와 주로 상령산․ 중령산․ 잔령산․ 가락더리․ 삼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 타령․ 군악의 무용곡을 집성한 것으로 서양의 Sonata da Camera(실내소나타)를 연상시킨다. 실제 무용 반주를 하는 것은 따로 삼현영산회상이고 이는 실내악이 아니다. 그리고 이 곡은 산조같이 격렬한 감정표출을 하지 않고 억제하는 경향을 가진 점에서 정악(正樂)이라고도 불리운다.” (2) 성경린,『국악감상』(서울; 삼호출판사,1977), 24∼25쪽. “아악(雅樂)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