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국악사] 9강 고려의 음악교육기관

1. 신라의 국가음악기관 –음성서 1) 진흥왕5년(555년) 예부(禮部) 음성서(音聲署): 장(長)2명+대사(大舍)2명+사(史)4명 2) 신문왕7년(687년) 음성서: 경(卿)2명+사(史)4명 3) 경덕왕(742-765) 대악감: 경→ 사악(司樂), 주부→ 대사, 사(史)4명 (경과 주부가 사악과 대사로 개정) 4) 혜공왕(765-780) 음성서: 처음 - 장2명, 개정-경2명, 대사2명, 사4명 5) 음성서의 명칭: 경덕왕때 대악감→ 혜공왕때 다시 음성서로 복원 6) 음성서의 관원: 장(長)2명․대사(大舍) 2명․사(史)4명으로 구성 장 → 687년 경卿으로 개칭→ 경덕왕때 사악→ 혜공왕 때 다시 경/ 대사 → 경덕왕 때 주부主簿로 개칭 → 대사로 복원. 장이나 경은 음성서의 우두머리 7) 음성서의 경..

전통음악의 이해 2023. 3. 6. 12:26
4강- 궁중음악기관의 변천 및 의궤

1. 신라- 음성서(音聲署) 1) 신라의 국가음악기관 2) 신라 24대 진흥왕 5년(555년)에 음성서의 관직을 두었다는 기록 3) 진흥왕5년(555년)예부(禮部)음성서(音聲署): 장(長)2명+대사(大舍)2명+사(史)4명 4) 신문왕7년(687년) 음성서: 경(卿)2명+사(史)4명 5) 경덕왕(742-765) 대악감: 경→ 사악(司樂), 주부→대사, 사(史)4명(경과 주부가 사악과 대사로 개정) 6) 혜공왕(765-780) 음성서: 처음-장2명, 개정-경2명, 대사2명, 사4명 7) 음성서의 명칭: 경덕왕 대악감→ 혜공왕 다시 음성서 8) 음성서의 관원: 장(長)2명․대사(大舍) 2명․사(史)4명으로 구성 9) 장이란 관직명: 687년(신문왕7년)경(卿)으로 개칭→ 경덕왕때 사악→ 혜공왕 때 또다시 경 ..

전통음악의 이해 2022. 12. 28. 22:19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kateresa@hanmail.net | 운영자 : 카테레사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