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국악사] 8강 고려의 음악문화

1. 향악 (1) 통일신라 향악의 가무전통이 그대로 전승 - 팔관회의 선풍, 별기은의 가무전통, 신라풍의 범패 등 (2) 향악은 제례의식(원구∙ 사직∙ 태묘∙ 선농∙ 문선왕묘제의 아헌, 종헌, 송신 절차) 뿐 아니라 궁중잔치에서도 연주 (3) 고려사 악지에 전하는 향악곡은 총 32곡 (4) 고려의 향악곡들은 궁중잔치 및 사대부 와 일반 서민들 사이에서도 노래로 불림 (5) 향악곡의 악조는 평조와 계면조, 5음 음계로 구성(평조란 중국의 5조 중 치조, 계면조는 우조와 유사), 확대, 변주, 유절형식과 하행종지형 (6) 향악정재등장 - 당악정재와 견줄 수 있는 새로운 형태, 향악의 전통을 지속, 무고(현재 전승)∙ 동동∙ 무애가 있음 (7) 오늘날의 탈춤에 해당하는 기악(伎樂)이나 줄타기, 접시돌리기, 땅..

전통음악의 이해 2023. 3. 3. 12:32
[국악사]5강. 통일신라시대의 음악문화

1. 통일신라(676~935)의 성립 1) 통일신라의 멸망 원인 (1) 전기 : 무열왕 ~ 혜공왕 (2) 후기 : 선덕왕 ~ 경순왕 (3) 전기: 전제왕권 ↔ 후기 : 귀족대란 (4) 혜공왕 시해, 선덕왕 즉위, 후기 시작 (5) 후기 150여년 간 귀족들의 권력투쟁 (6) 중앙세력 약화, 지방세력들의 득세 (7) 지방세력 득세 → 지방호족으로 발전 (8) 농민반란 (9) 견훤, 궁예의 후백제와 후고구려 건국, 후삼국 시대 (10) 후백제 멸망 이후 경순왕 고려 태조 왕건에게 항복 (11) 통일신라 멸망 2) 통일신라의 골품제도 골품제도란 법흥왕 이후 성립되어 신분이동이 가능하고, 신라 사회 전체를 규제함 2. 향악기와 가무 1) 향악기의 수용과 발전 (1) 삼국을 통일(660년 백제멸망, 667년 고구..

전통음악의 이해 2023. 2. 15. 12:39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kateresa@hanmail.net | 운영자 : 카테레사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