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국악사] 8강 고려의 음악문화

1. 향악 (1) 통일신라 향악의 가무전통이 그대로 전승 - 팔관회의 선풍, 별기은의 가무전통, 신라풍의 범패 등 (2) 향악은 제례의식(원구∙ 사직∙ 태묘∙ 선농∙ 문선왕묘제의 아헌, 종헌, 송신 절차) 뿐 아니라 궁중잔치에서도 연주 (3) 고려사 악지에 전하는 향악곡은 총 32곡 (4) 고려의 향악곡들은 궁중잔치 및 사대부 와 일반 서민들 사이에서도 노래로 불림 (5) 향악곡의 악조는 평조와 계면조, 5음 음계로 구성(평조란 중국의 5조 중 치조, 계면조는 우조와 유사), 확대, 변주, 유절형식과 하행종지형 (6) 향악정재등장 - 당악정재와 견줄 수 있는 새로운 형태, 향악의 전통을 지속, 무고(현재 전승)∙ 동동∙ 무애가 있음 (7) 오늘날의 탈춤에 해당하는 기악(伎樂)이나 줄타기, 접시돌리기, 땅..

전통음악의 이해 2023. 3. 3. 12:32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kateresa@hanmail.net | 운영자 : 카테레사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