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6강. 민간음악교육기관과 기생

조양구락부 정악유지회 조선정악전습소 기생의 변화 1. 조양구락부(한국정악원의 전신) 1) 1909년 9월, 서울 도동에 설립 2) 예로부터 전승된 가요ᆞ음율ᆞ악기들의 전통을 연구하여 그 참모습을 가르치고 익히기 위한 취지 3) 발기인: 김경남(가곡반주 출중), 하순일(하규일의 종형, 가곡남녀창 권위), 조남 한석진, 이병문(영산회상연주 신묘), 백용진(양금전공), 고우경, 한규우, 김현주, 한진구 (-거문고 명인) 4) 교사 구성: 각과 감독 – 함재운, 가요부교사장 – 하순일, 가교사 - 신경선. 장덕근. 이영환, 무교사 - 이병문. 함화진, 음악부교사장 – 김경남, 현금교사 - 이병문. 조이순, 휘금교사 – 고상익 5) 조양구락부 제 1회 평의회 결의안 왕조시대의 임금이 지으신 가곡의 음율을 익히고 ..

전통음악의 이해 2023. 1. 3. 12:55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kateresa@hanmail.net | 운영자 : 카테레사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