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정악에서 풍류음악으로 1) 학자들이 말한 정악의 이해 (1) 이혜구,『한국음악개요』『한국음악연구』(국민음악연구회, 1957) 73쪽. • 현악영산회상 일명 거문고회상을 정악으로 기술. “보통 거문고․ 가야고․ 양금․ 해금․ 젓대․ 피리․ 장고의 관현합주와 주로 상령산․ 중령산․ 잔령산․ 가락더리․ 삼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 타령․ 군악의 무용곡을 집성한 것으로 서양의 Sonata da Camera(실내소나타)를 연상시킨다. 실제 무용 반주를 하는 것은 따로 삼현영산회상이고 이는 실내악이 아니다. 그리고 이 곡은 산조같이 격렬한 감정표출을 하지 않고 억제하는 경향을 가진 점에서 정악(正樂)이라고도 불리운다.” (2) 성경린,『국악감상』(서울; 삼호출판사,1977), 24∼25쪽. “아악(雅樂)이..
전통음악의 이해
2022. 12. 31. 1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