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의 총 수신 잔액은 지난 10월 말 기준 1900조1421억원으로 전월보다 46조8657억원 늘었습니다. 저원가성 요구불예금과 정기적금은 감소했고 정기예금이 대폭 증가했습니다.
5대 은행의 지난 10월 말 정기예금 잔액은 808조2276억원으로, 전달보다 47조7231억원 증가했습니다. 지난 7월(712조4491억원) 700조원대에 올라선 정기예금 잔액은 3개월 만에 100조원 가까이 더 증가했습니다. 반면 정기적금은 39조17억원으로 지난달 대비 3080억원이 줄었습니다. 요구불예금은 전월 대비 28조9646억원 감소한 641조8091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고금리 은행 예금 상품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 시장이 침체하자 상대적으로 고금리를 적용하는 은행 정기예금에 뭉칫돈이 몰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실제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은 1년 만기 기준금리가 4.71%로 5대 은행 중에서 가장 높습니다. 그 뒤로는 KB국민은행(4.69%), 신한·하나은행(4.6%), NH농협은행(4.42%)으로 나타났습니다.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올해 들어 10개월째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은행의 지난 10월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93조6475억원으로 전월보다 1조4354억원 줄었습니다. 대출 잔액 감소는 신규 대출보다 기존 대출을 상환하는 규모가 더 크다는 의미입니다. 시장에서는 금리 상승으로 이자 부담이 커지고 주택 시장을 비롯한 자산 시장 침체에 연말까지 가계대출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가계대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지난 10월 말 기준 509조1357억원으로 전월보다 7580억원 증가했습니다. 10월 주담대 증가폭은 9월(1조754억원) 대비 감소했습니다.
신용대출 잔액은 전월 대비 1조9322억원 감소해 123조6299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신용대출은 지난해 12월 이후 11개월 연속으로 줄고 있습니다. 신용대출 금리 상단이 연 7%대로 치솟은 여파로 풀이됩니다.
전세대출 잔액 줄어
전세대출 잔액은 지난달 기준 134조625억원으로 전월보다 1351억원 줄었습니다. 전세대출 잔액이 감소한 것은 올해 1월 이후 처음입니다. 전세자금대출의 금리 상단이 연 7%대에 도달하자 월세 선호 현상이 강하게 나타났습니다.
'알려드려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겨레] 미래&과학 [주철현의 코로나 디코딩] (0) | 2022.11.09 |
---|---|
한국주택금융공사 안심전환대출 신청요건 완화 2단계 접수 (0) | 2022.11.05 |
아직 아무도 사과 안했다. (0) | 2022.11.01 |
Daum 뉴스-경제 [자산가들의 저가 증여방법] (0) | 2022.10.26 |
[한겨레신문] 국제 (1) | 2022.10.19 |